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Linux
- 나스
- 오픈수세 11.1
- Nas
- synology
- 피날레
- 시벨리우스5
- 시놀로지
- openSUSE 11.2
- 사보
- 네트워크
- 오픈소스
- sibelius4
- 미디
- 오픈수세
- 오픈수세 11.2
- MIDI
- 리눅스
- 시벨리우스4
- 사무실
- Finale2009
- OpenSuSE
- 수세
- 시벨리우스
- 피날레2009
- 오블완
- 피날레2005
- sibelius5
- Finale2005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목록소호 (2)
오브리닷넷(Obbli.net)
사용자 별로 나스를 선택하는 기준이 각각 다를것이다. 하지만 그 바탕은 "나스를 사무실에 들여 각 컴퓨터에 분산 저장되는 문서들을 한곳에 저장" 이라는 공통적인 목표가 있을 것으로 본다. 나스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으로 무엇을 알아야하고, 어떻게 선택하느냐를 얘기해보자.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백업을 해줘야 한다." 나스에 대한 나스를 둬야 가능한 일이다. 비용적인 부분이 2배로 드는건 어쩔 수 없다. 저장하는 데이터가 유실이 되면 안되는 굉장히 중요한 문서라면 이러한 준비를 하는것은 당연할 것이다. 그런데 소규모의 그것이라면 그렇게까지 비용을 들일 필요는 없다. 최소한의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만들어보자는 목표로 나스 계획을 세우는게 올바를 것이다. 적어도 포스트를 보는..
나스를 사무실에서 사용하기 위해 어떠한 준비가 필요할까? 많은 불특정 혹은 특정의 사람들이 사용함에 있어 나름의 정책이 필요하다. - 어떤식으로 접근할것인가.- 내부에서만 접속할 수 있게 할것인가 외부에서도 접속 가능하도록 만들것인가.- 사용자는 얼마만큼의 권한을 가지게 되는것인가?- 관리자는 어떻게 둘것인가?- 고정IP 정책을 펼것인가? 아니면 유동IP 정책을 펼것인가?-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할것인가?- 방화벽은 얼마만큼 열어둘것인가? 당장 생각나는건 이정도? 이외에도 구상해둬야 할 많은 목록이 있다. 차츰 업데이트 해보기로하고, 먼저 알아둬야 할 것은 내부 네트워크 구성 상태이다.대개 기초적 사무실 네트워크는 아래 구상도와 같이 되어있는것으로 본다.(이 구상도로 내용설명) 기본 구상 전 관리자는 공인..